전체 글(443)
-
생생하게 들려주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2부)
미국 아이다호 공군기지 F-111 전폭기가 경계태세에 돌입했고 괌에 있던 B-52 도 출격 대기에 들어갔다 사건 다음날 8월 19일 오전 11시 데프콘3가 발령 됐다 한국전쟁 이후 데프콘 등급이 바뀐건 최초의 일이였다 유엔사 사령관 스틸웰에겐 각하의 지지가 필요 했다 19일 오전 각하를 방문한 스틸웰은 작전계획과 워싱턴의 의지를 설명했다 하지만 각하는 김신조사건, 푸에블로호 사건 (미군 함정이 북괴에게 공격 납포된 사건) 에서 보여준 미국의 뜻뜨미지근한 태도에 불신과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 각하는 그사람들(미국) 떠들다 마는거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셨지만 미국 정부의 확실한 태도를 보고 마음을 바꾸셨다 " 그리고 유단자로 구성된 특전사 50명을 지원하기로 했다 " 근데 단순한 무력시위로는 북한에게 별다른..
2020.11.11 -
생생하게 들려주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1부)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하던 미군 장교 두명이 북한군에게 살해 당했다 도끼로 살해당한 아서 보니파스 대위(Arthur George Bonifas 1943년 4월 22일생) 마크 배럿 중위(Mark Thomas Barret 1951년 6월 9일생) " (판문점)공중에는 미군 비행기가 커버를 하고 있었고 .... 촉발 되면 바로 전쟁 이였다 " " 군인들(북괴)은 당장 전쟁이 일어나는줄 알고 있었다 " " 가지 때문에 제5관측소에서 3초소를 관측 할 수 없었다 " 매년 하던 일상적인 가지치기 였다 시야 방해 3 초소를 북한군 초소 3개가 둘러싸고 있는 모습 지금은 이해가 안되지만 당시 JSA내에서는 북괴들과 섞여 지냈다고 한다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북괴들의 J..
2020.11.11 -
소련이 북한 공격하려던 사건
도망가는 중공군 (흰옷 소련군 / 검은색 중공군) 우수리강 근처에서 집단 패싸움하는 소련군과 중공군 1969년, 중국과 소련 사이에 중-소 국경분쟁이 일어나면서 공산권은 친중파와 친소파로 갈라지게 되었음. 북한은 노골적으로 누구 편을 들지 않으면서 '주체'니 '자주'니 하는 말을 들어 공산권 사이에 일종의 중립을 표방했지만, 중립국이라고 해서 정말 50%-50% 중립을 지킬순 없었다. 이에 북한은 기존의 공산주의 이론을 조금씩 수정하여 자본주의 시스템을 조금이나마 도입했던 소련보다는 중국쪽에에 더 기댈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친소파 공산국가들과도 존나 잘 지냈고. 근데 정작 중국과 소련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없이 소극적이기만 했고. "이새끼들이!!!!" 뭐 사실 브레즈네프는 그렇게까지 빡친건 아..
2020.11.11 -
양반도 굶었던 조선시대를 알아보자
개항 이후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대체로 조선이라는 나라와 조선인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19세기 말 조선을 비롯해 극동 지역을 여행했던 영국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 또한 조선을 방문했던 대부분의 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조선인들을 게으르고 가난하며 상당히 의존적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비숍은 다른 평가들과 달리 그럼에도 조선은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고 봤으며 조선의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왜냐하면 그는 기근으로부터 벗어나 만주와 연해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에게서 희망을 발견했기 때문이었다. 만주와 연해주로 떠난 상당수 조선인들은 그곳에서 부농이 되었으며 근면하고 훌륭한 성품을 가진 사람들로 탈바꿈했다. 만약 그들이 조선에 계속 남아있었다면 저축하거나 절약하기는커녕 빈곤한 생활을 이어갔을 것이다...
2020.10.25 -
군대 "까드득" 사건을 알아보자
군입대 다섯 달 만에 자살한 황인성 이병의 일기가 공개됐음 근데 일기 내용에 정신 불안이 심하게 염려스러운 '우드득 까드득'이란 단어가 무수히 반복돼 있었음. 황인성 이병은 7월 입대 후 5개월 만에 병원 6층에서 투신 자살했음. 황 이병의 일기를 분석한 전문가는 황 이병이 뇌의 회로가 망가져 심각한 정신증으로 진행됐다고 봤음 그리고 '그린캠프'에 있었던 4주 동안, 죽음에 대한 생각을 구체화한 것 같다고 분석함 '그린캠프'는 군에서 소위 관심 병사를 관리하는 곳. 하지만 황 이병은 그린캠프 퇴소 일주일 만에 스스로 죽음을 택했는데 유가족은 이에 황 이병이 생활했던 '그린캠프' 운영에 의혹을 제기했음 그린캠프에서 황 이병에 대한 감금과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자살한 황 이병과 같은 '그린캠프'에서 생활했던..
2020.10.25 -
영국과 독일의 전투기 전쟁을 알아보자 3편
브금 재생후 1940년 9월 7일. 영국은 뛰어난 암호해독기가 있었음에도 독일공군의 런던공습 계획을 사전에 알아채지 못하고 있었어. 그래서 영국군은 어떠한 대비도 없이 평소처럼 독일공군의 주요 공격루트였던 남동부에 다수의 병력을 배치시켜 뒀었지. 그런데 독일공군은 항속거리 문제로 폭격기들을 호위 해주던 전투기들을 작전에서 제외 시키는 모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폭격기들이 최대한 남서쪽으로 크게 우회하여 런던을 기습적으로 공습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독일 폭격기들은 어떠한 저항도 받지 않은 채 런던 상공에 도착하여 예정대로 공습을 개시하게 되면서 런던은 순식간에 불바다가 되어가고 있었지. 그런데 하필 지금까지 런던의 방어를 담당해 왔던 [제11전투비행단] 이 사실상 괴멸 당하여 전투불능 상태였던지라 런던을 공습..
2020.10.21